→ 신형 맥 프로(Mac Pro) 휴대 프로젝트! '맥 프로와 주변장치가 백팩에 쏙'
"성능을 원한다면 맥 프로, 휴대성을 원한다면 맥북프로"라는 말도 이제 옛 말이 될 것 같습니다. 원통형 디자인에 크기도 소형화된 덕분에 맥 프로를 실제로 가방에 넣고 다니는게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. 맥 프로를 들고가는 곳에 전원와 모니터만 있다면 전혀 불가능한 이야기도 아닙니다.
그런데 이런 상상을 현실에서 구현한 사례가 있어 눈길을 끕니다.
'TLD'라는 곳에서 맥 프로 본체는 물론 온갖 주변장치를 백팩에 모두 집어넣고, 심지어 모니터까지 자급자족으로 해결한 동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습니다. 그 어디든 전력원만 있다면 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이 있는 작업 공간을 꾸밀 수 있는 구성입니다.
영상을 통해 조금 더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으는데, 일단 가방 안에 들어가는 물품 내역은 이렇습니다.
• 케이스 로직 SLR/노트북 백팩
• 에이서스 MB168B + USB 전원 모니터
• 라씨 썬더볼트 외장 SSD 드라이브
• 로지텍 퍼포먼스 마우스 MX
• 애플 블루투스 키보드
• 킹스톤 USB 3.0 카드 리더기
• 그리고 가장 중요한 '맥 프로 (Mac Pro) 2013'
와우. 정말 많이도 들어가네요.
영상을 만든이는 휴대성을 위해 모니터를 USB 방식으로 선택했는데, 1080P를 지원하는 고해상도 USB 모니터라 작업 공간이 넓어서 좋다는 군요. 또 마우스 커서 이동시 미묘한 랙이 발생하지만 영상 작업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고 설명합니다.
우스갯 소리가 아니라 종종 촬영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고성능 컴퓨터로 즉석에서 영상을 편집하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, 이런 구성이라면 짐짝만한 케이스를 끌고 다닐 필요 없이 어깨에 백팩만 두르면 끝인 셈입니다. (대신 어깨는...?)
그래도 이래나저래나 진짜 끝판 대장은 이분들이죠 :-)
참조
• Youtube - Mac Pro Portable Setup Project! v1.0 (Late 2013) /via dailyfix
관련 글
• 신형 맥 프로는 얼마나 작을까?
• 2013 맥 프로 포장 개봉 동영상 두 편
어깨 내려가는 소리가 여기까지 들리는군요.. 허허..
맥프로만 5킬로인데, 모니터 기타 등등까지 메고 다니려면, 강철어깨 만들어야겠네요.
조금 뜨악스럽긴했지만 보다보니 놀랄일도 아니네요..
주변에서 저렇게 하고 다녀도 이상할거 없을 것 같습니다 ㅋ
한국에서는 주변사람들 신경안쓰고 저분들 같이 대놓고 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죠..
미국은 워낙 사람들이 "나당당해" 위주라서 주위 사람 신경 안쓰고 자기 하고 싶은거 다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..
저런 문화가 부럽네요..ㅎㅎ
와 ~ 저도 아이맥 사서 직장 집 왓다갓다 들고 다닐려고 했었드랬죠
실제로 아이맥 가방도 알아봤으나 (아마존에서 팔더군요 ;;)
결국 레티나에 넘어가 맥북프로로 구매했습니다. ^^
아이맥프로는 정말 빽팩에 넣고 다니면 좋겠네요 ^^
맨마지막 ㅎㅎㅎ... 만약 걸어가다가 걸리면 대참사가 일어나겠는데요
그나저나 맥프로가 1200와트짜리 파워 쓰는걸 생각하면 카페같은데에선 살짝 민폐겠는데요 ㅎ
저 ASUS 모니터도 한 가격 하네요 해상도로 봐선 +모델 같은데... 해상도에 따라 두 모델인 듯 하네요.
영상작업하시는 분들이라면 현장에 가져가셔도 충분히 쓸만하시겠네요. 뭐 카메라보다는 가볍고 작아 보이는데요?
어설픈 맥프레보다 더 나을 수 있겠다 싶습니다.
우와 맥프로...
현장운영장비로는.. 저거 들고다니면 이제 치킨게임입니다..
현장은 맥북프로로... :)
Alvi singer님 말씀처럼 어설픈 맥프레보다 나을수도 있겠네요. 일단 그래픽 성능이 넘사벽이니...
어깨는 안드로메다로...
그래도 시도하고 실행 한다는 사실 자체가 부럽네요 ^^
맨 마지막 사진 전에볼땐 막연히 외국이라고 생각했었는데....이제보니 서초동 스타벅스가 아닌가 싶네요;;;;;;
요즘 맥프로와 조립컴의 가성비를 비교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저런 뛰어난 휴대성과 발열과 소음을 잡은 혁신적인 삼각쿨링시스템 등은 돈몇푼의 가치로 쉽게 환산할 수 있는것들이 아니지요. 단순 성능비교만으로 이렇다 저렇다 결론짓는 사람들 보면 좀 답답하더라구요.